카테고리 없음

조경수(造景樹, landscape trees)

아량아량아량드롱 2025. 6. 20. 22:06
728x90
반응형
SMALL

조경수(造景樹, landscape trees)”에 대해 정의, 종류별 분류, 주요 수종 예시, 선택 기준, 생리학적 특성, 조경 설계에서의 역할, 그리고 실제 조성 사례까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조경수란?

조경수는 사람의 생활환경을 아름답게 꾸미고, 쾌적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식재되는 나무를 말합니다. 이는 단순히 미적 목적뿐 아니라 기후 조절, 소음 차단, 프라이버시 보호, 생물서식처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도시 생태 인프라의 핵심 구성요소입니다.


2. 조경수의 분류

조경수는 용도, 형태, 생리적 특성, 수종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용도에 따른 분류

분류                특징                                                     수종 예시

 

가로수형 도로변 식재, 통풍·차광·경관 개선 플라타너스, 은행나무, 이팝나무, 느티나무
정원수형 개인정원, 아파트 단지, 사찰 등 단풍나무, 목련, 배롱나무, 동백나무
공원수형 공원 조성 및 생태공간 구성 참나무류, 소나무, 메타세쿼이아
차폐수형 건물 차폐, 소음/바람 차단 측백나무, 향나무, 회양목
화목형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 벚나무, 목련, 철쭉, 개나리
열매수형 열매 생산 또는 새 먹이 제공 감나무, 산사나무, 살구나무
 

(2) 생리적 특성에 따른 분류

구분                    설명                                                   예시

 

상록수 사계절 잎을 유지 소나무, 향나무, 동백나무
낙엽수 가을~겨울에 잎 떨어짐 단풍나무, 느티나무, 벚나무
활엽수 잎이 넓고 얇음 목련, 참나무, 이팝나무
침엽수 잎이 가늘고 바늘 모양 전나무, 잣나무, 측백나무
 

(3) 크기와 형태에 따른 분류

유형                              설명                                          대표 수종

 

교목 (큰 키 나무) 수고 10m 이상, 공간 구조의 뼈대 형성 느티나무, 플라타너스, 메타세쿼이아
중목 수고 4~10m 벚나무, 배롱나무, 단풍나무
관목 수고 1~4m, 하부식재에 활용 철쭉, 회양목, 남천
덩굴식물 벽면 덮기, 수직조경 능소화, 등나무, 담쟁이덩굴
 

3. 대표적인 조경수 수종

낙엽활엽수 (계절변화와 꽃, 열매 관찰용)

이름                       학명                                                특징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마을 어귀·정자수, 큰 그늘 제공
벚나무 Prunus spp. 봄의 벚꽃, 가로수 대표
단풍나무 Acer spp. 가을 단풍, 정원과 공원 조경에 탁월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여름철 백일간 꽃, ‘백일홍’이라 불림
목련 Magnolia spp. 큰 꽃, 이른 봄에 피어 이목 집중
 

상록수 (사계절 푸르름 유지)

이름                     학명                                           특징

 

소나무 Pinus densiflora 한국 전통 조경수, 정원·사찰에 자주 사용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울타리 조성, 향기 나는 잎
회양목 Buxus spp. 정형 가지치기 가능, 낮은 차폐용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내건성, 상록성, 도시공간에 적합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겨울에도 꽃, 남부지방 조경에 인기
 

4. 조경수 선택 기준

항목                                    고려 요소

 

기후 적응성 해당 지역의 온도, 강수량, 바람, 토양 조건
공간 크기 교목 vs 관목 선택, 뿌리 성장 여유
경관미 꽃, 열매, 잎의 색상 변화, 계절감
생장속도 빠른 조성 vs 장기적 조성 계획
내공해성 도시 가로수일 경우 대기오염, 미세먼지 대응력
관리 용이성 전지 필요성, 낙엽 처리 등 유지비용 고려
 

5. 조경수의 기능적 역할

기능                                                설명

 

미적 기능 정원, 공원, 도시경관의 시각적 만족감 증대
환경 개선 공기 정화, 미세먼지 흡수, CO₂ 저감
기후 조절 여름 그늘, 겨울 일사 조절 (낙엽수 이용)
소음 저감 수벽 형성으로 도로 소음 완화
생물 서식처 조류, 곤충, 포유류에게 서식·먹이 제공
프라이버시 보호 주택 주변 차폐, 시야 차단
 

6. 실제 조경 수목 조성 사례

장소                                             주요 조경수 예시

 

도시 가로수 플라타너스, 은행나무, 이팝나무, 벚나무
아파트 단지 단풍나무, 배롱나무, 측백나무, 동백나무
사찰 및 한옥 조경 소나무, 느티나무, 감나무, 회양목
공원 참나무류, 메타세쿼이아, 벚나무, 목련
정원 조경 철쭉, 회양목, 배롱나무, 능소화 등 소형·관목류 활용
 

 

728x90
반응형
LIST